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사이드프로젝트
- 미국대학생활
- jpa
- 파이데이아창의인재학과
- 유학생 준비물
- 해외유학
- CSUS
- 미국유학생
- Kenneth Park
- 자바 스터디
- 자바
- i-20
- 개인 프로젝트 개발일지
- 미국유학
- F1학생비자
- 만다라트프로젝트
- 유학생대학생활
- 미국대학
- 복수학위제도
- 케네스로그
- 비전공자 git
- 케네스
-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
- JVM아키텍처
- 미국유학생활
- java
- Java 스터디
- 개발일지
- 2+2
- 부산외대
Archives
- Today
- Total
케네스로그
[WEB] TCP/UDP 본문
반응형
TCP와 UDP
- 네트워크의 전송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
- 데이터 전달을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
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- OSI 7 계층 중 Layer 4 계층에 해당
-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
-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, 신뢰성, 흐름 제어를 제공
TCP
- 전송 제어 프로토콜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의 약자
특징
- 연결 지향 프로토콜
-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
-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보장 (데이터의 순서 유지를 위해 각 바이트마다 번호를 부여)
-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(ACK 이용) => 데이터를 확실히 주고받을 때 사용
-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1:1 연결된다 => 논리적 경로를 지정한 후 고정 경로로 통신
- Streaming 서비스에 불리하다(손실된 경우 재전송 요청을 하므로)
- ex. 웹/메일/파일 공유
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란?
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
UDP
- 사용자 데이터그램 통신 규약 (User Datagram Protocol: UDP)
-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에서 흔히 이용
데이터그램: 독립적인 관계를 지니는 패킷
특징
- 비연결 지향 프로토콜
- 신뢰성 없는 데이터 전송(도착 결과 확인 과정이 없어 데이터 전송 중 손실 가능성이 있음)
- 패킷관리가 필요
- 시간 동기가 필요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등에서 사용
-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1대1, 1대N, N대M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
비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란?
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연결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발신자가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발신하는 방식
비교
공통점
-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주소를 지정
- 데이터 오류 검사를 위한 체크섬 존재
체크섬: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값
차이점
흐름제어와 혼잡제어
흐름제어: 데이터를 송신하는 곳과 수신하는 곳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조절하여 수신자의 버퍼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것
혼잡제어: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가 넘치게 증가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
반응형
'Dev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B] Rest, RestAPI, Restfulness (0) | 2023.01.04 |
---|---|
[WEB] HTTP와 웹의 동작과정 (1) | 2023.01.03 |
[WEB] HTTP (0) | 2023.01.03 |
HTML 문서 구조화, 시멘틱 마크업이 필요한 이유 (0) | 2021.08.16 |
HTML 컨텐츠 카테고리와 모델의 이해 (0) | 2021.08.16 |